언론보도
광화문 아닌 ‘용산 집무실’ 선회 배경…보안·시민불편·비용 고려 (news1.kr)
[서울 뉴스1, 윤 수 희, 최 동 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3.20/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 선언했다. 당초 공약으로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고 했던 만큼 정부서울청사 혹은 그 옆 외교부 청사에 이전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했으나 각종 보안 및 경호 조치에 따른 시민들의 불편을 감안해 결국 용산을 최종 낙점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전 11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이 차려진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선 이후 광화문 보유 청사 등을 대상으로 집무실 이전 방안들을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쉽지 않은 문제임을 절감했다”라고 했다.
윤 당선인은 광화문 이전 공약을 온전히 지키지 못했다는 비판 여론을 의식한 듯 기자회견 중 상당 시간을 해명에 집중했다. 그는 “광화문에 초점을 맞출 게 아니라 청와대를 나와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린다는 데 초점을 맞춰달라”고 당부하며 용산을 선택한 이유를 자세히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먼저 “최소한의 경호 조치에 수반되는 광화문 인근 시민들의 불편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당선인 신분으로 보고를 받아보니 광화문 이전은 시민에게 재앙 수준”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과 인수위 측의 설명을 종합하면 광화문 정부청사나 외교부로 이전할 경우 전파 차단으로 인한 시민들의 통화 방해, 집무실 주변 집회 금지로 인한 광화문 광장 이용 제한 등으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
윤 당선인은 “전파가 차단돼 수시로 휴대폰이 터지지 않거나 전자기기 사용에 지장이 발생한다면 단 몇 분 몇 초라도 기업 등에 상당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더불어 서울정부청사나 외교부엔 군사지휘통제 시스템이 없어 비상 시 기존 청와대 지휘 벙커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청와대에 다시 들어가야 한다. 이 경우 적시 대응이 어렵고 청와대를 온전히 국민에 돌려줄 수 없다는 것이 윤 당선인의 판단이다.
반면 용산 국방부 청사 인근은 이미 군사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대통령실 이전에 따른 추가적인 규제가 없다고 윤 당선인 측은 설명했다.
국방부 상황실은 청와대 상황실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C4I(합동지휘통제체계) 운영 등에 시간적 공백이 전혀 없고, 국방부는 남태령 합동참모본부 상황실을 함께 사용해 오히려 효율성이 제고된다는 것이다.
윤 당선인은 “광화문 청사는 지하벙커와 헬기장이 없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할 때 또 청와대에 들어가야 하는 문제가 있다”며 “용산 국방부 청사는 지하벙커가 있고 비상시 통로가 다 연결돼 NSC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용 문제도 크게 작용했다. 정부서울청사 각 부처들은 새 입주지를 구해 임대비용이 발생하지만, 국방부는 남태령 합참 청사로 이전할 수 있고 입주 중인 부처는 경내 다른 건물로 이전이 가능해 추가 임대료가 들지 않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원래 합참 청사는 한미연합사와 함께 건물을 사용하도록 건립됐지만 연합사가 평택으로 이전해 공간적 여유가 생겼고, 여기에 국방부가 들어가면 된다는 게 윤 당선인의 구상이다. 윤 당선인은 “국방부가 합참청사로 이전하는 데 큰 제한은 없다. 같은 구내 이전이라 집무실 이전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또 국방부가 남태령으로 이전하면 “합참은 평시와 전시가 일원화된 작전지휘 체계 유지가 가능하며, 합참 근무자와 장병들도 더욱 쾌적하고 안정적인 근무 여건이 보장될 것”이라고 내다봤다.